신평사, 저축은행업 전망 '부정적' 평가
저신용·다중채무자 중심 연체율 상승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 높아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경기가 악화로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저하되고 부동산 시장도 충격을 받으며 저축은행 대출채권 부실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악화가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저축은행업권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올해 저축은행업권의 리스크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미 저축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저신용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예금보험공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까지 전국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3.0%로 전분기 대비 0.4%p 상승했다. 2021년 말과 비교하면 2.5%에서 0.5%p나 오른 수치다.
3분기 말 호남 권역을 제외한 전국 5개 권역(서울, 경기·인천, 대구·경북·강원, 대전·충남·충북, 부산·울산·경남)에서 연체율이 일제히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지난해 1·2분기에는 3.3%를 나타내다 3분기에는 3.5%로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은 대출금 중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으로 연체 기간 1개월 미만은 '정상', 3개월 미만은 '요주의', 3개월 이상부터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건전성 정도가 나뉜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낮을수록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여신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한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에 비상이 걸린 건 저축은행 이용 고객의 특성에 기인한다.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의 50.1%는 신용평점 하위 20% 이하인 저신용자가 차지하고 있다. 다중채무자 비중은 약 76%에 달한다.
물가와 금리 상승, 경기침체 압력이 가중되면 신용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신용,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2021년과 2022년 저축은행업권은 가계대출 취급을 가파르게 확대했는데, 이에 따른 연체율 관리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가계대출의 건선정 하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대출의 경우 부동산 금융의 위험도가 모두 높아 부실 증가가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규모는 10조6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중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비중은 75.9%로 은행(10.5%), 증권(35.8%), 여전(39.9%), 보험(46.3%)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금리인상, 원자재가격 상승, 주택가격 하방 등이 지속되고 있어 올해 PF대출 부실 위험 우려는 커지는 상황이다.
한국신용평가는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금융 비중이 약 200%에 달하고, 부동산금융 내 브릿지론이 약 50%로 높은 수준"이라며 "비(非)아파트 85%, 후분양 65% 등으로 분양 위험이 높고, 낮은 시공사 신용도와 신탁사 책준 비중(2%) 감안 시 시공 위험도 크다"고 분석했다.
곽수연 한신평 연구원은 "올해 저축은행 산업에 대한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이라며 "영업환경 악화, 부실확대 등으로 인한 자산건전성 저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기업대출의 대부분이 부동산담보대출로 부동산 경기 민감도가 높아 부동산 경기침체시 건전성에 부정적"이라며 "자기자본 대비 높은 부동산금융 비중, 부동산금융 내 높은 브릿지론 비중, 본원적으로 열위한 사업성 등으로 자산건전성 저하가 지속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업계도 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PF 대출의 연착륙을 지원하고 저축은행의 유동성 관리와 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해 변동성이 커져 가는 국내외 금융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금리와 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고 영향은 누적되기 때문에 차주들 상황이 더 어려워졌다"며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다하는 것이 올해 각 저축은행들의 핵심 목표일 것"이라고 전했다.